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 자료란?
- 시각장애인이 기존 인쇄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거나 새롭게 제작한 자료
- 대체자료의 구분
대체자료의 구분
구분 |
내용 |
점자자료 |
- 점자도서
- 점자라벨도서
- 묵·점자혼용도서
- 촉각도서
|
녹음자료 |
- 오디오북 (DAISY음성 도서, 일반 오디오 도서)
|
영상자료 |
|
전자자료 |
|
기타자료 |
|
점자도서 (braille book)
점자도서 예시 이미지, 설명은 다음에 오는 내용을 참고
- 점자도서는 120g 이상의 무게를 가진 종이에 6개의 돌출된 점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손끝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도록 타공방식이나 약품처리를 통해 점자를
입혀 제작된 도서를 말한다.
- 우리가 읽는 글자를 묵자라고 하는데 이를 점자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 점자도서로 출판된다.
- 시각장애인의 문자인 점자는 6개(세로 3점, 가로 2점)의 점이 한 칸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음과 자음은 초성과 중성, 종성으로 나뉘어 각각의 점의
위치가 다르게 표기되며, 약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는 초성, 중성, 종성을 풀어서 표기하기 때문에 일반 묵자로 된 책보다 부피가 크다.
- 예로 오타 데쓰야의 ‘꿈꾸는 삶에 절망은 없다’는 묵자책은 1권이지만 점자도서는 총 4권으로 제작된다.
- 점자도서는 종이로 출판된 점자도서와 파일형식(bbf, brl, bbf)의 전자점자도서가 있다.
묵 · 점자혼용도서
묵점자혼용도서 예시 이미지, 설명은 다음에 오는 내용을 참고
- 묵점자통합도서는 장애인과 일반인이 자료를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묵자(일반 글자)와 점자를 한 지면 안에 표현한 도서로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서로
이해하고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제작된 대체자료이다.
- 최근 통합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독서습관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유아들에게 장애아동 간의 올바른 관계형성과 인식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
- 현재는 전국의 시각장애아동 뿐 아니라 독서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들에게까지 확산되어 읽혀지고 있다.
- 묵점자통합도서는 제작방법에 따라 묵점자혼용도서, 점자라벨도서로 구분된다.
묵점자혼용도서
구분 |
내용 |
묵점자혼용도서 |
- 묵자의 크기를 크게 확대하여 인쇄한 종이에 타공방식, 약품처리 등으로 점자를 입혀 제작한 도서
|
점자라벨도서 |
- 반도서(그림책 등)의 본문 내용을 점자로 변환하여 라벨 테이프에 찍어 묵자나 그림이 그려진 지면 위에 덧붙여 제작한 도서
|
DAISY 음성도서
- 시각장애인과 독서 장애인을 위한 개방형 국제 표준 디지털 도서 형식으로 제작된 오디오 도서로 기존의 일반 오디오 도서보다
더 높은 접근성과 기능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독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DAISY
DAISY : Digital Accessible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시각 및 독서장애인을 위해 개발된 개방형 국제 표준 디지털 도서 형식으로
유럽과 미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 국가에서 시각 및 독서장애인을 위한 표준 디지털 도서로 정하고 있다. 또한 DAISY 컨소시엄에서는
시민사회, 출판 및 기술 산업, 표준 기관, 정부와 협력하여 접근 가능한 출판 및 독서를 위한 글로벌 솔루션을 개발하고 지원하고 있다.
DAISY 플레이어 : 한소네, 책마루, 센스독서기, Easyreader , Thorium 리더 등
Audio CD 도서
- Audio CD도서는 낭독자(휴먼, TTS프로그램)가 낭독한 도서의 내용을 디지털파일 형태(wave, mp3, cda 등)로 CD에 저장한 도서이다.
ARS 전화도서
- 간행물, 신간도서, 화면 해설 방송, 학습지원센터 및 소리샘 등의 내용을 낭독자가 낭독하거나 화면낭독프로그램(TTS)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된
소리파일(MP3)을 전화를 활용한 ARS시스템을 통해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제작한 녹음도서이다.
ARS (모바일 정보제공 시스템)
ARS 서비스 기관 : 서울특별시립노원시각장애인복지관 (02-950-0174)
화면해설 영상도서
- 화면해설영상도서는 공영방송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녹화하거나 출시된 영화 등에 내용을 침범하지 않는 선에서 중요한 시각적 요소에 대한 해설을 삽입한 것이다.
-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시각적인 요소, 예를 들어 주요 인물의 움직임이나 영상의 배경과 같은 내용을 해설해 준다.
- 제작방법에 따라 크게 화면해설영상물, 소리영화로 구분할 수 있다.
화면해설 영상도서
구분 |
내용 |
화면해설영상물 |
- 낭독자가 대화를 제외한 화면 속 장면(액션, 배경, 바디랭귀지, 그래픽 등)을 설명해주는 기법으로 제작한 영상자료
|
소리영화 |
- 화면해설영화 중 비디오부분을 제외하고 오디오부분만 제공하기도 하는데 이를 소리영화라고 한다.
|
수어/자막 영상도서
- 수어자막영상도서는 문자중심의 일반도서 및 음성 중심의 영상물을 청각장애인의 언어인 수어를 번안하거나 자막을 삽입하여 제작한 청각장애인용 대체자료이다.
- 한글 자막이 삽입되어 배포되는 외국영화와는 달리 한국영화나 방송물 등은 별도 제작을 해야 하나, 많은 비용과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수의 자료만이 제작,
보급 되고 있다.
- 제작 및 서비스 방식에 따라 수어자막영상물, 수어영상물, 자막영상물로 구분할 수 있다.
수어/자막 영상도서
구분 |
내용 |
수어자막영상물 |
- 영화, 방송물에 한글자막과 수화를 함께 삽입하여 제작
|
수어영상물 |
- 기존 영상물에 수화를 삽입하거나, 동화 및 법률/금융정보 등을 수화로 제작
|
자막영상물 |
|
큰글자 도서 (Large Print Book)
눕혀져있는 2권의 책들과 펼쳐져 있는 1권의 책
- 큰글자도서는 보통의 문자 크기보다 큰 문자로 제작한 도서를 말한다.
- 이 책은 보통 크기의 활자로 된 인쇄물을 읽을 수 없는 저시력인 또는 고령자를 위해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 큰글자도서에는 자료자체가 큰활자로 인쇄된 큰글자도서를 비롯하여 확대복사기나 워드프로세서의 확대문자로 제작한 것, 손으로 문자를 확대한 확대사본 등이
있다.
쉽게 쓴 책 (Easy-To-read book)
- 쉽게 쓴 책은 원본의 내용을 청각장애인 및 지적장애인들이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단어와 문장으로 쉽고 간결하게 표현한 도서를 말한다.
-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용 대체자료로 개발되지 않고 있다.
- 그러나 출판사에서 베스트셀러 도서를 대상으로 유아/어린이/청소년이 쉽게 읽을 수 있게 같은 제목 하에 내용을 수정하여 출판된 도서도 ‘쉽게쓴책’이라 할 수
있다.
보이스북 (음성변환출력용 2차원 바코드도서)
- 묵자(일반글자)가 인쇄된 도서물의 오른쪽 페이지 우측 상단에 두 페이지 분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한 정사각형 모양의 2차원 바코드를 함께 인쇄하여 휴대용
바코드 스캐너를 통해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들려주는 방식이다.
- 이 방식의 가장 큰 장점은 비시각장애인이 접근하는 활자 인쇄물의 정보를 시각장애인도 음성으로 접근함으로써 지금까지 비시각장애인의 전유물이었던 활자 인쇄물의
정보를 시각장애인 또한 스스로 접근하고 비시각장애인과 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다.
- 또한 2차원 바코드는 HWP, MS-Word 및 출판전용 프로그램인 Quark XPress 등에서 쉽게 생성이 가능하다.
- 따라서 점자나 녹음도서 등에 비해 그 제작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
특징
- 장애인에 대한 배려의 중요성 부각이 된다.
- hwp, ms-word 등에 쉽게 생성이 가능, 제작 단가가 저렴하다.
- 악보 재생과 외국어 음성이 지원되며, PC용의 경우 화면 확대 가능하다.
-
단점
- 정보 전달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 음성 코드의 위치를 찾기 어렵다.
- QR코드와 Voiceye 코드의 경우 바코드를 스캔할 보조공학기 보급률이 낮아 정보전달의 한계가 있다.
촉각도서 (tactile book)
- 일반 그림책과 달리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책의 내용을 생동감있게 입체적으로 표현한 책이다.
- 점자로 그림을 표현하거나 다양한 재료로 물체 모양을 그대로 표현하기 때문에 물체의 개념 및 단어, 의성어, 의태어 등의 개념을 이해하는 데 효과가 크다.
- 또한 촉각을 이용하여 그림을 인지하기 때문에 독서 흥미도를 높여주는 데 도움이 되며 누구나 함께 읽을 수 있다.
- 촉각도서는 주로 통합교육 교재나 시각장애 유아용 교재, 지도, 도감 등 그림과 같은 형태를 전달하기 위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촉각도서 : 왼쪽면에는 묵점자 혼용 내용이 있고, 오른쪽에는 촉각 이미지가 있음. 왼쪽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혼자 남겨진 견우는 .
심심해서 견딜 수가 없었어요.
직녀는 결국 견우를 따라 놀러 나갔어요.
이 소식을 들은 임금님은 더욱 화가 나서
견우와 직녀를 불러 말했어요.
"날마다 점잖지 못한 행동만 하니,
앞으로 헤어져 살도록 하라!"
견우와 직녀가
애원했지만 소용이 없었어요.
견우와 직녀는 각각 동쪽과 서쪽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어요."
촉각도서 : 왼쪽면에는 묵점자 혼용 내용이 있고,
오른쪽에는 촉각 이미지가 있음. 왼쪽면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잠시 후, 호랑이가 잡은 동아줄이 뚝 끊어졌어요.
하늘에서 헌 동아줄을 내려 준 거예요.
"으악! 호랑이 살려."
호랑이는 저 아래 수수밭으로 떨어져 죽었어요.
그때 호랑이가 흘린 피 때문에 수숫대가 붉어졌답니다.
한편, 호랑이를 피해 무사히 하늘로 올라간 오누이는
해와 달이 되었어요. 동생은 해가 되고, 오빠는 달이 되어
우리를 환하게 지켜준대요."
견우와 직녀가 마주보고 손을잡고있는 촉각이미지가 있다